<국민연금 의결권-③> 삼성물산-제일모직 주총 '고심'
[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결정하는 주총을 앞두고 국민연금이 적지 않은 압박을 받고 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현재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대한 찬반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채 의견수렴만 하고 있다.국민연금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는 어떤 의견을 낼 수도 없고 의결권위원회에 위임할지 자체적으로 결정할지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단 의결권 자문을 맡긴 2곳에서 반대를 권고했다. 핵심적인 반대 논리는 합병비율이 삼성물산 주주에게 불리하다는 것이다. 지난 3일에는 글로벌 의결권 자문기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가 합병을 반대하라고 권고했고 한국기업지배구조원도 최근 국민연금 측에 합병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국민연금이 의결권 자문을 맡긴 곳은 전문가 집단이다. 비용을 지불하고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조언을 받는 곳이라는 의미다. 특히 ISS의 경우 합병 반대를 외쳐온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주장하는 현행 1대 0.35 수준인 합병비율을 재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타당하다고 평가해 국민연금을 고심하게 만들고 있다. 삼성물산 지분 0.35%를 보유한 네덜란드연기금자산운용사(APG)가 사실상 합병비율이 불공정하다는 이유로 합병 반대 의견을 이미 내놓은 바 있고 지분 0.15%를 보유한 캐나다연기금(CPPIB)도 합병 반대 의사를 밝혔다. 정삼영 한국대체투자연구원장은 "엘리엇과 같은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특징은 늘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데 있다"며 "그들의 주장은 합병을 하면 주주가치가 훼손될 것이라는 점에 있다"고 지적했다. 정 원장은 "애국심에 호소하기 보다는 다양한 의견을 듣고 논리적으로 풀어가야 하고 어떤 방향이 기업가치에 부합하는지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국민연금이 개별 기업활동에 대해선 관여를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명직 한양대학교 교수는 "삼성이라는 기업이 합병을 결정할 때는 장기적인 비전을 바탕으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해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며 "국민연금이 국민이 낸 자금으로 운영되는 조직인 만큼 개별 기업에 대한 관여를 과도하는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국민연금은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되지 않는 이상 중립적인 위치에서 의사결정을 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073